베란다 텃밭을 한지 벌써 4년은 넘은 것 같다.
제대로 하기 시작한 것은 딸기를 키워보겠다고 관하 딸기 모종을 산 이후이다.
그 때부터 사실 뿌리파리와 응애에 당하면서 지금까지 왔다.
처음 보는 응애와 총채는 구분이 잘 안갔다. 왜냐하면 그냥 해중은 다 똑같이 약을 써야하는 해충일 뿐이었기 때문이다.
뿌파는 날개가 있어서 구분이되고 진딧물은 원래 아는 놈이라..
여러 해 베란다 텃밭을 해보니 응애에 잘 당하는 개체들이 따로 있었다.
가지, 딸기, 완두콩, 강낭콩 류.
대부분 좀 빨리 자라는 편이기도 하고, 환기에 민감한 식물들인 것 같다.
이런 애들은 집에서 안키우는게 정신건강에 좋은 듯 하다.
딸기는 베란다에서 키우다가 야외로 두었더니 응애가 사라지고 정말 건강한 개체가 되었다.
(화분 그대로 옮겼기 때문에 흙도 그대로다.)
그만큼 환기가 중요한 것 같고, 웬만하면 따듯해 지는 4월 초에는 방제작업을 한 번 해주는 것도 좋은 것 같다.
해충 박멸의 시작은 역시 예방인 듯 하다.
타이밍을 놓쳐 응애가 한 번 이파리에 생기면 거의 되돌이킬 수 없는 것 같다.
내 생각에는 이 때부터가 시작이었다.
20240427 베란다 텃밭 (tistory.com)
20240427 베란다 텃밭
이제는 꽤나 더워진 날씨.베란다 텃밭은 의외로 환기가 잘 안되는 구조인데.그만큼 병충해가 창궐하는 시기이기도 하다.그리고 꽃대가 올라오는 시기라 꽃대를 잘라줘야하는 식물들 관리도 해
mnemonics.tistory.com
현재 아래 식물 LED 구역에 있는 강낭콩은 사실 그렇기 심한 편은 아니다.
잎이 중간 중간 얼룩덜룩하게 색이 빠지는 것으로 피해가 시작된다.

태양으로 광합성 하던 놈들은 뭔가 환기가 더 안되는 지역에 있었던 것 같다.
더 따듯한 쪽이 피해도 심한 것 같다.
그래서 LED 쪽보다 더 심하다.

응애는 거미로 알고 있다.
그래서 아래 사진처럼 식물에 거미줄 같은 게 쳐져 있다면 응애일 확률이 매우 크다.

응애는 보통 잎사귀의 뒷면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.
너무 작아서 안보이지만 알 같은 것들이 가득하다.

잎사귀 전체적으로 얇은 거미줄로 덮여 있고 알이 그득하다.

이 와중에서도 강낭콩 주머니는 자라고 있어, 생명력을 유지하려고 하는 강낭콩의 필사적인 몸무림이 느껴진다.
물론 강낭콩 주머니나, 강낭콩의 성장은 멈춰버린 상태이다.
이 정도면 강낭콩은 방제를 지금 해도 많이 늦은 것 같다.
적어도 다른 작물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이마트나 다이소에서 식물 재배 용도 뿌리는 살충제를 구입해야겠다.
(아이가 어려서 되도록이면 친환경으로..)
참고로 인터넷에서 파는, 물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친환경 살충제 같은 경우 유효기간이 3~4개월이고 양이 많아 규모가 작은 베란다 텃밭에 사용하기에는 비효율적이다.
'동향 베란다텃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꼬꼬마 양배추 파종부터 수확 (0) | 2024.05.18 |
---|---|
20240515 베란다 텃밭 (3) | 2024.05.15 |
20240511 베란다 텃밭 (0) | 2024.05.13 |
20240427 베란다 텃밭 (0) | 2024.05.12 |
20240421 베란다 텃밭 (2) | 2024.04.22 |